top of page

Installation,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7-2000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Mixed media technique(photo, acrylic, india ink on rice paper paste), 30x150cm, 1998

Folding screen series

Série de Paravent

​병풍 시리즈

..…Flowers, trees, water and human body, are motifs that Shin's has repetitively used and expressed interest for the last few years. She captures this 'nature' with photography, and places it on paper through lithography, eventually coloring it with ink and acrylic. She prepares her base canvas with a paste made with rice paper, and then places the lithographed photography on top. Nature that manifests through this complex and intricate series of process is not a replication of reality that photography normally yields. It only shows a mundane set of elements such as trees, leaves, flowers and sea.

Only a minute fraction of elements in nature is deliberately selected in her work. In the symbolic universe the two palms create, lay a flower, tree leaves, wood branches and a sea. If one tries to explore the real world, the flowers, forest and sea altogether disappears like a mirage. It is then an endless world of emptiness spreads out. After going through a clouded world appears far away the original landscape.

Shin Sook’s image field is created with partial entities of nature drawn on the palm. They sit next to a landscape depicted in a larger scale. These two parts are then separated by empty spac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re is no physical frame that surrounds the work. By introducing a seemingly endless negative space in between the two parts - the palm and the landscape, composing the positive space, she is enabled to encompass the spacious white wall where her work is installed as part of her work.

By encompassing the white emptiness of the wall, she allows the viewer’s imagination to expand boundlessly. The appropriation of the imagination enables her to do so only by portraying a small fraction of nature. This resembles the creative techniques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ers. To draw a landscape, they experience and explore the details of each season, yet they do not replicate it in a realistic way. The core essence of oriental painting lies in the spiritual aspects of the author. What they draw on paper is not the realistic depiction of the landscape, but their heart and Ki. Shin’s work thus is approaching the oriental paintings universe through photography.

…...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the Far East does not confront men and nature against each other, but rather places them together in a harmonious, circular universe. It is a world of forgiveness and understanding. One cannot climb the mountain, but merely walk into it.

….The hands within the creative universe, and a small portion of nature on those hands, they all exist together on the same circle. The continuous cycling of the small and big, inside out, diverging understanding and converging empathy is yielding a certain vigor to the otherwise sentimental work. ….

- Extract of 'Photograhy & Life', Choi Gunsoo/Photo critic, published by Sigosa, 1999, p. 288-295

……나무, 꽃, 물, 인체 등이 신현숙이 수 년 간 관심 어린 사랑을 보인 대상들이다. 이 ‘자연’을 사진으로 찍고, 화선지 위에 석판화 기법으로 옮겨 먹이나 아크릴릭으로 채색한다. 그리고 반죽된 화선지를 캔버스 위에 바탕 처리한 후 석판화 기법으로 옮긴 사진을 다시 이곳에 붙인다.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그녀의 ‘자연’은 사진이 보여줄 수 있는 재현적 세계가 아니다. 흔히 만날 수 있는 나뭇가지, 작은 이파리와 꽃들, 그리고 바다의 한 부분이다.

자연의 극히 일부분만이 선택되어 있다. 두 손바닥을 모아 만든 그 세계 안에 나뭇가지가 있고 꽃이 있다. 바다가 잠겨 있다. 문득 손바닥 안에 놓여진 진짜 세계를 보고자 하면 신기루처럼 숲도 바다고 꽃들도 증발해버리고 빈 여백의 세계가 끝없이 펼쳐진다. 또다시 구름에 휩싸인 듯한 세계를 지나서야 손 안에 떠올려진 원래 풍경이 먼 원경으로 눈에 잡힐 듯 다가온다.

신현숙의 이미지 장 (image field)은 손바닥 안에 반영된 자연의 부분과 그것의 원(遠) 풍경일 듯한 자연들이, 깊고 넓은 하얀 여백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면서 작품의 기본 틀을 이룬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이미지-장을 감싸는 액자의 틀이 없다는 것이다. 즉 포지티브 공간을 이루는 손 안의 자연과 상단 부분의 원풍경 사이에 한없는 거리를 느끼게 해주는 네거티브 공간을 종적으로 두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품의 틀을 제거함으로써 흰 벽면을 작품의 한 부분으로 끌어들여 횡적으로 넓이의 환영을 만들어주는 효과를 자연스럽게 연출하고 있다.

극히 작은 자연의 한 부분들은, 빈 여백을 자연스럽게 동원함으로써 상상 속에서 무한대로 확장되는 것이 아니겠는가! 사물들은 현실 속에서 취해졌으나 상상의 공간 속에 존재한다. 마치 동양의 산수화에서 나타나는 작가의 상상력과 닮아 있다. 그리고자 하는 아름다운 산수를 계절, 시간, 거리 방향까지 섬세하게 충분히 관찰하고 경험하지만, 그렇다고 그것을 재현적 형태로 그리지는 않는다. 즉 동양의 산수화는 작가의 정신 세계가 사실성에 근거하여 마음을 집중시켜 기(氣)가 있는 필(筆)의 흔적을 옮기는 세계이다. 신현숙의 작업은 이렇듯 사진을 이용하여 전통적 동양화의 세계에 다가가고 있다.

……동양인들의 기본적인 자연관에서 인간은 자연과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둥그런 원의 세계 속에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 함께 어우러진다. 그것은 미더운 화해의 세계이다. 우리는 산에 올라갈 수가 없다. 산에 들어가야 한다.

가상의 커다란 자연 속의 손바닥, 다시 손바닥 속의 작은 자연. 이 모든 것이 자연이라는 하나의 계열체 속에 있다. 깊은 서정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또는 안에서 밖으로 이미지가 분출, 확산되는 동감과 밖에서 안으로 수렴되는 동감이 서정적인 작품에서 결핍되기 쉬운 힘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 발췌 '사진, 그리고 삶 (25인의 한국 사진작가)', 최건수/사진 평론가, 시공사, 1999, p.285-295

bottom of page